정보&정리

학신망/학신왕(学信网, CHSI)에서 중국 학위 인증 온라인 발급하기 (중국 현지 핸드폰 번호 없이 가능)
중국 현지 핸드폰 번호 없이 한국에서 온라인으로 무료로 취직 또는 대학원 진학 시 필요한 중국 학위 인증을 받는 방법을 정리합니다. 《목차》 온라인으로 중국 학위 인증 발급 사이트 학신망 회원가입 (한국 핸드폰 번호 사용) 중국 학위 인증서 발급(중문) 영문 번역본 중국 학위 인증서 발급 공증? 학신망? 학위망? 어디서 어떻게 중국 학위 인증을 발급 받을 수 있는가? 중국 소재의 대학교에서 졸업했을 경우, 중국 대학 학위 인증 요구할 때가 있습니다. 가장 기본이 되는 방법은 공증이였습니다. 하지만 1부당 2~40만원의 비싼 비용 및 2주 이상의 소요시간 등 불편이 많았습니다. 다행이도 근래에는 학위 인증서를 온라인으로도 발급받을 수 있고 국내 대학에서도 받아주고 있습니다. 학신망(学信网, CHSI)에서 ..

인터넷등기소 : 법인등기 온라인 발급 및 출력 (제3채무자 은행 등기 출력 도움말 포함)
법인등기 인터넷 열람/출력 방법 등기소에 가지 않아도 인터넷으로 법인 등기부등본을 열람/발급(출력)할 수 있습니다. 개요와 절차 등 자세한 내용은 인터넷등기소 사이트에 설명되어 있으니 상세히 읽고 싶은 분은 링크를 참조 바랍니다. (링크1, 링크2). 인터넷 등기소의 가장 큰 장점은 집/사무실에서 소속된 회사의 법인등기를 출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사의 법인등기를 출력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전자소송 중에 법인 피고/채무자의 법인등기와 제3채무자인 '은행'의 법인등기 출력할 때 매우 편리합니다. 전자소송에 필요한 법인등기를 출력할 때 참고하실 수 있는 도움말을 곁들여 법인등기 인터넷 출력 방법을 정리하였습니다. 온라인의 법인 등기부등본을 출력하고자 하는 분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

주택 임대차 계약 신고 온라인으로 하는 방법
더보기 (간략 설명) 주택 임대차 계약 신고제 사전 준비물 안내 주택임대차 신고서 온라인 신고 및 등록 방법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 접속 및 로그인 임대인 임차인 정보 입력 임대목적물 입력 임대 계약내용 입력 제출 전 확인 및 전자서명 신고 이력 조회 방법 신고필증 발급 방법 주택 임대차 계약 신고제 임대차 계약했으면 계약일로부터 30일 이내에 주택 임대차 계약을 신고해야 합니다. 임대인/임차인이 신고 의무인입니다만, 위임하여 대리인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임대차계약의 경우 부동산을 중개로 두고 많이 합니다. 이 경우 담당한 부동산에 위임하여 신고 가능합니다. 그냥 위임해서 해달라고 하는 게 편합니다. 이처럼 담당 부동산 중개사에게 위임하면 됨에도 불구하고 임대인/임차인이 계약할 때 해외에 있거나 위임에 필..
국어사전 및 맞춤법 검사 사이트 정리
한국어 검색 및 맞춤법 검사기 사이트 리스트 한국어/용어 검색할 수 있는 사이트 및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 가능한 사이트 정리. 한국어 검색 (국어사전) 네이버 국어사전 (링크) 유의어/반의어 같이 나옴.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링크) '자세히 찾기'로 검색 시 다양한 조건으로 검색 가능. 단어가 기억 안났을 경우 '자세히 찾기'의 '찾는 말'에서 '뜻풀이'로 검색 가능. Wordrow (링크) 시작/끝나는 단어 및 초성으로 검색이 가능. 사투리(방언) 검색 가능 (링크). 속담/한자 검색 가능. 우리말샘 (링크) 신조어 검색이 용이함. 전문가 감수가 있어서 전문어 검색이 용이한 편.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 한국 맞춤법/문법 검사기 by 나라인포테크 (링크) 개인은 무료 사용 가능. 많은 글자를..
국가별 검색엔진 사이트 리스트
나라별 검색엔진 목록 나라마다 주로 사용하는 검색 사이트는 다르다. 자료를 평소 사용하는 검색 사이트에서 안 나올 때 다른 사이트에 검색하면 나오는 경우가 간혹 있다. 한국어 검색으로 안 나오면 영어로 검색. 영어로도 안 나올 때 중국어/일본어/러시아로 검색하면 나오기도 한다. 아래는 나라별 검색 사이트를 정리. 글로벌 검색엔진 구글: google.com - 나라별로 구분도 됨. (국가별 도메인 코드를 붙이면 됨.) - 대부분 나라에서 구글 점유율은 매우 높거나 1위임. 빙: bing.com -대만/유럽 등 다른 나라에선 점유율 높은 편. 유튜브도 영상 자료가 방대해서 검색 유용함. 한국 네이버 : naver.com 다음 : daum.com 참고: 네이버와 다음은 당사의 블로그 위주로 나오기 때문에 정보..